과민성대장증후군
과민성대장증후군 같은 경우에는
스트레스를 받거나 긴장을 하게 되는
상황에서 장의 운동이
비정상적으로 항진되어
경련성 복통, 설사, 변비가
번갈아가면서 일어나는 증상이라고 해요
분명 장에 불편함을 느껴지는데
막상 검사를 받아보면
결과는 이상이 발견되지 않아
원인 파악이 어려워
치료가 쉽지 않다고 하네요
원인으로는 심리적 요인으로 파악하고 있고
환자가 느끼는 일상의 불편감에 비해
명확한 치료법은 알려진 게 없지만
증상을 악화시키는 음식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좋다네요
이 병의 증상으로는 복통, 복부 팽만감,
복부 불쾌감, 가스, 트림 등으로
알려져있으며
소화불량, 구역질, 가슴쓰림 등의
증상을 겪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과민성대장증후군에 대한
자세한 결과는 의사에게 가서
확인 해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하니
증상이 느껴지면 가셔서
검사 받아보는 게 좋을 거 같아요
장에 좋은 음식 - 과민성대장증후군
1. 사과
사과에는 펙틴이라는 성분이 많이 들어있어
장 운동을 도와주고 장벽을 보호해줘
튼튼하게 만들어주며 포도당과 과당이
풍부하게 들어있어 소화흡수를 높여주는
식품이라고 합니다.
2. 매실
매실에는 살균효과가 강한 해독작용을 하는
카테킨산이 들어있는데 카테킨산은
장 안에 살고 있는 나쁜 균의 번식을
억제하는데 도움을 주고
장내 살균성을 높여
장의 염증과 발효를 막아주고
연동운동을 활발하게 해줘서
장에 좋은 음식 이라고 해요
3. 콩
콩에는 대두 올리고당이
장내의 비피더스균의 먹이가 되어서
좋은 균이 서식 할 수 있도록
좋은 환경을 만들어주고
식이섬유도 풍부해서
연동운동을 자극하여 장의 운동을
활발하게 하는데 도움을 줘
배변을 원활하게 해주는데
좋다고 합니다
콩으로 만든 청국장, 된장 같은
음식도 좋다네요
4. 부추
부추에는 비타민과 칼슘 그리고 지방,
무기질 등의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있으며
장을 따뜻하게 해주는데 도움을 주는
식품이기 때문에 장이 약한 사람이 먹음
좋다고 합니다 거기에 항암예방에도
좋은 식품이라고 하는데
된장과 함께 먹으면
효능이 더 좋다고 하네요
5. 양배추
이 양배추에는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들어있고
비타민 A, C, K, U, 미네랄,
칼슘, 칼륨 등이 풍부하게 들어있어
도움이 되는 식품이라네요
거기에 위장의 점막을 강화시켜주는데
도움을 주고 위궤양 예방 및 치료에도
도움주는 식품이기 때문에
장에 좋은 음식 중 하나라고 해요
6. 당근
당근에는 식이섬유를 포함해
비피더스균을 활성화시키는
성분까지 들어있어
변비와 설사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해요
그리고 위를 보호해주고
오장을 편안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고
고혈압과 동맥경화 예방에도
도움주는 식품이라네요
거기에 당근에는 풍부한 비타민과
무기질이 들어있어
암세포와 노화원인이 되는
활성산소를 억제하는데에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7. 요구르트
요구르트에는 유산균이 풍부하게 들어있어
도움이 되는 음식이라고 해요
유산균은 위산이나 답즙산에 의해서
죽기 때문에 날마다 꾸준히 적당량을
섭취해주는 게 좋다고 하네요
8. 생강
생강은 몸을 따뜻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는 식품이며
살균효과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차로 끓여마시면
도움이 될 수 있다네요
9. 대추
대추에는 장에 쌓여있는
독소를 제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가스가 차는 것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장에 좋은 음식 중 하나라고 합니다
10. 마
마의 끈적거리는 뮤신이라는 성분이
장 속에 좋은 세균은 증식 시키는데
도움을 줘 장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다네요
다만 장에 좋은 음식 일지라도
과민성대장증후군으로
고생하시는 분들께서는
사과, 콩, 양배추, 부추, 마늘,
양파, 버섯 등등 피하시는 게
좋을 수 있다고 하니
다른 좋은 음식들도 잘 알아보시고
드시는 게 좋을 거 같네요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구마 효능과 먹는법에 대해서 알아보기 (0) | 2020.03.23 |
---|---|
계피효능과 꿀계피 효능 알아보기 (0) | 2020.03.22 |
프로폴리스 효능 그리고 복용법에 대해 정리 (0) | 2020.03.17 |
내장지방 빼는법에 대해서 정리 (0) | 2020.03.16 |
아마씨 효능에 대해 정리 (0) | 2020.03.15 |
댓글